Комментарии:
진짜 공감입니다ㅎ 그래서 와우 세계관이 대단하다? 아니 그 어떤게임도 따라올수없는 갓겜이라고 봅니다😊
Ответить본섭은 뛰는게 이상함
Ответить저는 쿨티란 남캐지만 마법소녀 옷을 주로 입힙니다 ^^
Ответить걍 안목 차이입니다 지들 천박한 미의식에 pc하면 경기 일으키는 인간들까지
천편 일률적으로 성괴 같은 얼굴을 추종하는 일종의 사이비 종교?
해리포터는 취급 하면 안되는게 해리포터의 영향은 사실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해리포터도 기존 판타지들에서 대놓고 따라한게 한두가지가 아니라 발매시기도 안맞고 해리포터 보면서 워크가 영향받았다고 생각드는것도 없고
반지의 제왕 dnd시리즈 워해머40k 이 3개가 맞습니다 대놓고 따라한것들도 많고 dnd의 직업 역할 시스템이라던가
반지의 제왕 미스릴이라던가 워해머의 오크 고블린 등등
개인적으로 판타지면 판타지 답게 외형 디자인 해야하는데 현대 복장나오고하는거 보면 할맛 딱 떨어짐
로아도 그렇고 크래프톤에서 만든 rpg 뭐였드라 그거 오픈하자마자 스트리밍 보는데 대놓고 라이언있는거 보고 바로 껐을정도로 진짜 짜증남
와우도 세계관에 어울리지 않는것들이 있긴한데 그건 대부분 탈것이나 펫으로 (꼬마 디아블로나 ) 그래도 잘 녹아들게 만들어놓음 개뜬금없이 라이언 ㅇㅈㄹ 하는건 전혀 없으니
그리고 rpg게임이 아니라 rpg라고 하는게 맞습니다 롤플레잉 게임의 줄임말이 rpg라 rpg게임은 롤플레잉 게임게임입니다
썸네일 형변 지린다..
Ответитьㅇㅇ 원작이 그렇게 생겼기 때문임
못생겼다( x)
원작대로 만든거 뿐이다 (o)
그리고 그당시 나온 모든 게임들의 재밌고 흥미로운 요소를
모두 끌어다가 집어넣었음.
대체 어디서 춤추고 계신거지?
Ответить반대로 왜 게임케릭터는 정형화된 그 이쁘고 잘생긴 그것이어야하나임, 난 그거에 전혀 동의못함 오히려 난 한국알피지 특히 리니지나 로아같이 그 특유의 과하게 샤방샤방한 케릭터가 너무 이질감느껴짐 매력이 느껴지지않고 솔직히 이쁜지도모르겠음
Ответить이쁘게 못 만들어서가 아니구 컴터 사양 안 좋은 사람도 즐길 수 있게 하기 위함과 눈 피로도, 맵 특색으로 적응력(겜을 한 유저에게 스샷만 보여줘도 여기 어디 지역이네 알 수 있으나 한국겜은 다 비슷해서 가끔 혼동할 때 있음) 등등 이질감 없이 동화적인 느낌도 주려고 설계한 것임.
가끔 졸라 이쁘게 만들고 사양 낮은 사람은 낮게 하면 되지 않냐? 하는데 기본 폴리곤이 있어서 낮춰도 한계가 있음. 놀라운 건 캐릭터 하나 만들 때 폴리곤 갯수가 한국은 이쁘게 만들다 보니 몇 만개가 들어감 와우는 몇 천개로 캐릭터를 만듦. (지금은 좀 올라 갔다 함.)
20년이 넘어 가는데 아직도 와우 그래픽 운운 하다니..
뭐가 못쌩겨!!
Ответить해리포터는 와우하고는 상관이 1도 없습니다...ㅡㅡ 블리자드게임, 워크래프트 프랜차이즈 오래전부터 리얼타임으로 즐겼던 와저씨들이 보면 기가 찰 내용이 많아서 한마디 적고 갑니다.
1. 워크래프트 1 (오크와 인간) - 1994년 작, 개발 초기에는 시장에서 웨스트우드 사의 《듄2》, 《커맨드 앤 컨쿼》등의 현대 밀리터리 RTS가 인기가 있던 시절이라
블리자드 부사장 앨런 애드햄은 고대부터 중세 현대까지 아우르는 전쟁 RTS 시리즈를 기획, 그래서 이름을 "워'크래프트'"라고 붙임. 그러나 아트워크 담당직원 샘와이즈 디디에를 비롯한 직원들 다수가 현대전에는 흥미가 없고, 당시 푹 빠져있던 미니어처 보드게임인 '워해머' 같은 판타지 세계관으로 만들자고 제안하고 오크와 인간이 두 진영으로 나뉘어 싸우는 게임을 개발하게 됨.
개발 초창기 92~3년의 이야기임.
2. 게임 장르나 시스템적으로는 워크래프트 1편은 RTS 장르의 시초격인 웨스트우드 사의 《듄2》의 영향을 크게 받음
3. 워크래프트 2 (어둠의 파도) - 1995년 작, 말하면 입만 아픈 RTS의 전설 '스타크래프트'의 기본적인 시스템과 UI가 유사하고, 뼈대가 되는 여러 RTS 요소들이 이때 정립됨.
워크래프트2는 스타크래프트와 조작이나 UI가 거의 비슷하다. 워1에서 환골탈태 수준으로 그래픽 외적으로나 게임 시스템적으로나 재미로나, 당시에는 파격적이고 획기적인 작품이었음.
96년에 GOTY 수상함. 현재 와우의 아트워크 - 알록달록한 푸른색 빨간색 녹색 황무지 등등 컨셉이나 아트의 지향점이나 방향성이 이미 워크래프트2에서 만들어졌다고 봐도 될 정도임.
4. 해리 포터 1편 마법사의 돌 - 1997년 출간, 해리포터가 나오기도 한참 전에 이미 세계관이 어느정도 정리가 된 게임이 워크래프트2임.
시기로 보나 스타일로 보나 억지를 쓸래야 쓸수도 없을 만큼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을 구석이라고는 1도 없음.
5. 위에도 전술했지만《워크래프트》시리즈는 당시 블리자드 개발진이 즐겨하던 테이블, 보드 게임인 《D&D》와 《워해머 판타지》 등의 영향 아래에서 탄생
크리스 멧젠을 비롯해 당시 블리자드 개발진들이 주구장창 즐기던 TRPG와 테이블탑 게임에 큰 영향을 받음. 그런 영향 아래에서 멧젠이 살을 덧붙이고 엮어서 워크래프트2를 기점으로 현재 우리가 아는 와우의 세계관(아제로스 얼라이언스 7왕국, 오키쉬 호드, 트롤, 고블린 등등) 이 형성됨
6. 워그(worg)는 반지의 제왕에 나오는 늑대(warg)의 변형, 워해머 만큼이나 영향을 끼친 TRPG '던전 앤 드래곤즈'에서 반지의 제왕의 설정을 가져오면서 저작권 문제로 한 글자를 바꿔서 가져옴.
7. 와우 세계관의 늑대인간 "워겐(worgen)"이라는 명칭은 worg에 사람을 뜻하는 접미사 en 을 붙여서 타우렌 taur-en 판다렌 pandar-en과 같은 용법으로 워그의 수인형태 종족이라는 뜻으로 워겐worg-en이라고 만들게 된 것. 이것이 와우의 세계관이 D&D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는 큰 증거이며 또한 와우에서도 오리지널리티를 살리는 요소가 됨. worg 를 차용했지만 워겐이라는 독창적인 개념으로 다시《워크래프트》와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의 설정에 맞추어 만들어짐. 이런 요소들은 너무 많아서 일일히 열거하기도 힘든 정도.
8. 위에서 말한 워그worg는 서구권에서 흔히 사용되는 늑대인간, 웨어울프werewolf 와 구분됨.
해리 포터 시리즈에 나오는 늑대인간은 werewolf로, 워크래프트에서 나오는 늑대인간worgen과는 엄연히 다른 개념.
추후에 해리포터가 전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끌게 된 2000년대를 지나오면서
당대에 비슷한 시기에 출시된 와우 안에도 세부적인 요소들(패러디나 오마주, 이스터에그 같이) 받아들여진 부분은 있을 수 있겠으나 전체적인 워크래프트 시리즈의 큰 흐름이나 줄거리에는 조금의 영향도 끼쳤다고 보기가 힘듭니다. 두 작품은 서로 큰 연관이 없는 작품입니다.
대부분의 와우 팬들이 느끼기에 워크래프트 프랜차이즈는 D&D, 워해머 같은 테이블 게임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고 이미 널리 알려져있지,
영상의 내용처럼 해리포터나 나니아 연대기같은 소설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는 이야기는 한참 잘못된 정보 같습니다.
영상에서 설명하신 것처럼 서구권 판타지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준 반지의 제왕 정도를 제외하고는 다른 소설들과의 큰 연관성을 찾기가 힘든데,
무슨 3대 판타지니하는 현재 시점에서의 위상으로 그걸 유추합니까...
엄연히 개발비화가 알사람들은 다 알고도 넘치는, 이미 팔대로 파본, 공공연하게 잘 알려진 작품이 와우며 워크래프트 프랜차이즈인데..
하다못해 나무위키만 조금 읽어봐도 올리신 영상의 내용은 다소 황당하게 받아들여질 여지가 있습니다.
알려진 정보로 와우가 처음 기획된 시점은 스타크래프트 개발이 끝난 직후 디아블로 2 개발시기와 겹치는 99~2000년 즈음입니다.
이때는 워크래프트3와 분리된 것이 아니라 쿼터뷰 시점으로 mmorpg를 만들 계획이었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그러나 개발이 진척되면서 3인칭 mmorpg로 분리시켜 워크래프트3는 쿼터뷰 RTS로 개발하여 출시했고
그 뒤로 따로 TPS시점으로 개발하게 된 것이 모두가 알고 있는 와우 오리지널입니다.
시기상으로 해리포터 열풍이 불기 한참 전부터 일찌감치 개발하고 있던 작품입니다. 연관성이나 받은 영향이 조금이라도 있다고 보기가 힘듭니다.
해리포터가 나오기도 1년 전인 96년도에 이미 GOTY를 받은 워크래프트2인데..
프랜차이즈에 해리포터니 나니아 연대기니 무슨 큰 영향을 끼친 것처럼 막연하게 3대 판타지가 대충 유명하니까 연관있겠지~ 라고 뇌피셜로 영상을 올리셨길래...
잘 모르는 사람이 보면 정설인 것처럼 받아들여질까봐 정정 댓글 달고갑니다.
와우는 설정덕후들이 워낙 많아서 내공없으면 함부로 이야기하기 힘들어요.
자가연구 뇌피셜은 그냥 뇌피셜로 남겨두세요.. 골수 설정덕후 블빠들 와우저들이 들으면 답답합니다 여러모로..
마그하르오크 + 만노로스의엄니 + 피의울음소리 + 악몽 마부 = 극락
Ответить와우는 좃간지로 하는겁니다
Ответить와우의 상의랑 바지는 사실 바디패인팅임
Ответить그나마 교역소라는게 생기면서 형변이 약간은 다양해지고 있긴 해요.. (그전까지는 유료형변 몇개 빼면 대부분 던전이나 레이드에서 나오는 형상뿐이다보니 판타지느낌 나는 옷밖에..)
사실 교복, 간호사복, 경찰제복, 비키니, 핫팬츠 같은거 유료형변으로 판매하면 꽤 팔릴 것 같은데 인간여캐 블엘여캐같은 일부 캐릭터가 아니면 그냥 웃기려고 입히는 느낌이 될 것 같긴 해요. 게임의 분위기와 괴리감도 클 것 같고. 일부러 쿨티란남캐나 오크남캐에 입히는 사람들도 있겠지만...ㅎ
워크고 스타고 다 워해머 기반일텐데
Ответить와우의 캐릭터와 크리처 아트는 Paul Bonner의 영향을 매우 많이 받았어요. 교과서처럼 따랐다고 하더라고요. 그분의 아트북을 보면 어느 정도 이해하실 수 있을 거예요.
Ответить음 애초에 인간제외하고 다른 종족들에 대한 기대가 없어서 그런걸까
Ответить그 에버 퀘스트 하던 형이 하던 말이 와우 캐릭터는 현존 서양겜 중에 가장 이쁜거다 라고 말한게 생각 나는군요
Ответить말씀하신대로 실바나스방어구 아지노스 같은 템에 열광하고 희열을 느끼면,
멋있는 외형인데
그러려면 스토리를 알아야 하죠
하지만 이 코리안들은 다 스킵을 때리기에 의미조차 모르고 못 생겼다 하기 바쁩니다.
오크라도 언데드라도 판타지적 이질감 없이 더 멋지게 캐릭터를 그릴수 있는 부분인데 오히려 클래식 버전 캐릭이 더 나은듯요 심지어 인간종족도 그닥 안땡김..그리고 갑옷이나 아이템도 리치왕 이후로는 착용시 멋진게 별루 없음.. 외국 유튜버들도 그런 디자인적 요소를 까는사람이 많더라고요 😢 근데 캐릭터가 사용하는 마법류의 디자인들은 잘만듬
Ответить와우는 외형이 이뻐서 15년이상 게임해왔습니다. 요새는 검은사막이라는 게임으로 갈아탔는데
솔직히 개인적으로 한국게임에서 여캐들 무조건 하이힐에, 노출 심한의상, 현실적인 그런 의상들 진짜 안어울리는거 같습니다.
아무래도 첫 rpg를 와우로 시작했다보니 로스트아크건, 뉴월드건, 검은사막이건간에 판타지월드이고, 몬스터들 땅에서 구르면서
이리뛰고 저리뛰면서 잡아야하는데 하이힐신고, 수영복입고 잡는다? 몰입성이 떨어지는거같아요.
와우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해외 rpg는 현실적 의상보다는 비현실적 의상을 더 추구하고, 해외유저들도 그쪽을 더 추구하는거같습니다.
아무래도 대부분의 한국 rpg 게임들은 인간이라는 종족이 디폴트이고, 인간들밖에 선택할수없는게 많다보니. 혹은 인간과 비슷한 요정족정도?
그에 반해 해외rpg는 여러 다양한 종족들이 있어 현실적 의상이 더 안어울리는 경향이 많은거같습니다.
북미 로아 처음 나오고, 현실적인 아바타등등이 나왔을때 유저 대부분이 풉ㅋㅋㅋ 저게 뭐야 ㅋㅋㅋ 이런 반응이였죠. 아무래도 그당시 대부분의 유저들은
와우 난민, 파판 난민, 디아 난민들이 대부분이였으니까요.
개인적으로는 역시나 판금이 좋습니다. 여캐들도 머리부터 발끝까지 판금으로 입히는걸 좋아해요.
아쉬운점은 한국 rpg게임은 그런점이 거의 없다는게 참 아쉽죠.
사실 분석이 별 의미는 없는게
캐릭터의 외형은
게임을 안하는 핑계로는 1순위 일수 있지만
게임을 지속하는데는 아주 미미한 영향을 끼침.. (개인적으로는 캐릭터의 그래픽 스타일은 사실 영향이 아예 없다고 생각하지만..)
사람들이 왜 좋은지 왜 싫은지에 대한 이유는 사실 진실이 아니고 본인도 자기 뇌의 소설에 속고 있는 거라 들을 가치가 사실 없음
캐릭터의 외형으로 잠깐 호기심에 시작은 해볼 수 있지만 외형에 끌려 그 목적으로 게임을 접하게 만들어봐야..
게임 자체의 재미에 적응하려는 의지 없이 곧 탈주하게 됨... (엄청 섹시한 여자에게 끌려서 접근 했지만 그녀의 눈동자 색은 모른다거나, 그녀의 음식 취향은 모른다거나 하는것처럼 하나에 집중하게 되면 다른 매력을 어필 하기가 더 힘들어 짐)
물론 외형을 미끼로 접하게 하고 나머지 매력으로 잡는 방식을 생각할 수 있지만 생각한대로 작동하지 않을 것이고
거기서 오는 고사양화, 이제와서의 개발자들의 크런치 등 득보다 실이 더 많은 선택이 될 것임
젤다, 언더테일, 로블록스, 마인크래프트, 등등등... 증거는 많고.
재미잇고 잘만든 게임이 그래픽도 좋은 경우는 많지만
단지 캐릭터가 이쁘기 때문에 성공한 게임은 찾기 힘들것임.. 스..스텔라블레이드..?? 안해봤지만 이미지상 잘만든 게임이 아니라 외형 때문에 하는 게임 느낌??
그런 1회성 판매의 패키지 게임에서나 작동하는 방식의 선택임
못생겨서 더 친밀감이 느껴지구~~~ 간지도 나구~~~~♡
Ответить한국게임특 npc도 쭉쭉빵빵이다 와우에서 실바나스급은 국산게임에서 식물수준임 한국게임 구려
Ответить로아를 예시로 들었지만 보고 저게 판타지냐? 현대 아이돌 이지 하고 혐오감마저 들더라고요.
Ответить무기라도 제대로 만들어봐야 블자야.양손검 지팽이라도 거무튁튁 안하게 세련되게 만들어봐라.짜리몽땅하게 맨날 나무색으로 만들지말고~
Ответить3대 판타지를 가져온건 지나친 억측입니다
당시 서양권 mmo 3대장 eq, daoc, uo를 가져온다면 모를까
시네마틱처럼 게임 나오면 해결됨
Ответить탈것에 신경쓰는거의 70프로 정도만 캐릭터 및 방어구 룩에 신경쓰면 지금보다 훨씬 더 유저 많을듯
Ответить불성 때 호드 플레이어블 캐릭터로 블엘이 아니라 오우거가 들어왔어야 했다.
Ответить시네마틱의 나엘에 대한 환상을 가지고 나엘로 시작했었지만 인겜 모델링은 시네마틱과는 너무나도 괴리감이 느껴져 블엘로 새로 만들고 시작했었죠. ㅋㅋ
요즘 형변들 나오는거 보면 와우도 캐쥬얼한 것들도 시도는 해보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ㅋㅋ (수영복,마법소녀 등)
한국 게임 및 아시아 캐릭터들은 개성이 없이 죄다 인형같아서 그닥임 그러다 보니 복장이나 헤어로 과장된 차별화를 둠
그나마 한국 게임중 검은사막 정도가 개성을 부여하려 했지만 정작 유저들이 만드는 외형은 죄다 성형돌임...
반면 서양 게임들은 너무 개성이 과함 와우정도면 개성을 잘살려서 이쁘게 만들었다 봐야함
제일 나은게 오버워치 그래픽인데 문젠 운영 개판으로 망해간다는거 .
워크래프트는 톨킨과 워해머 판타지 세계관의 영향을 받음. 스타크래프트는 워해머 40k 영향을 받았고. 해리포터, 나니아 연대기 같은 애들 장난 순한 맛 따위 고려 대상이 아니었음. 염세적이고 시니컬한 분위기 속에 게이나 레즈, 미형의 캐릭터 따위가 끼어들 여지는 없었음. 왜? 피와 살이 튀고 뼈가 분리 되고 가죽이 벗겨지는 전장에서 아리따움이 존재 할 리가 없잖아? 그게 북미 정서의 가장 큰 매력이었고. 크리스 멧젠의 워크래프트 초기 삽화들을 보면 현재의 와우는 미형 캐릭터가 맞음. 그냥 시대와 세대가 변한 것 뿐임.
Ответить난 와우가 잘생겼다고 생각하는데..세뇌당했나 ㅋㅋㅋ
Ответить(저도 올드 유저 라지만 초반 와우 접했던 이유도 스토리 때문이라 캐릭터 나 이쁜 무언가를 바래서가 아니네요
단지 신규 유저 유입을 위해서 라도 눈모양 직접 0.01 수준으로 조절가능하고 눈 입 등 어느정도 세밀한 커스터 마이징만 가능해져도 유저수 엄청나게 늘어날겁니다)
지 뇌피셜로 주절거리는거 보니 참 가관이네요.;;;;
Ответить? 오히려 한국 게임들이 다 멋없지 않음? 다 중국게임 같은 스타일인데 그게 멋진가?
트롤 오크 드워프 같은 스타일을 받아들여야하는거 아닌가? 판타지 게임인데 인간 스타일로만 생각해야하나?
세계 3대 판타지라면 반지의 제왕, 나니아연대기 와 어슐러 K 르귄의 어스시 시리즈 아닌가요?-,-?
Ответить뇌피셜 좀 적당히
Ответить근데 그 빈곤함속에서 꿀단지를 찾는 맛이 있음.. 막 경매장 뒤져보면서 이옷저옷 입어보고 못난걸 어떻게든 꾸며보려고 하면서 결과물 괜찮으면 다른 어떤걸 입어도 이뻤던 게임에서 못느끼는 뿌듯함이 있음ㅋㅋㅋ
Ответить캐릭 꾸밀줄 모르는 아재들이 지캐릭 멋지다고 올려놓는 꼴보면 토나온다
Ответить그래픽과 그림체를 혼동하면 안됩니다. 와우 그래픽 쩝니다. 캐릭터 눈동자 파도치는거 등등... 그림체가 순정만화같지 않아서 그렇지 굉장히 사실적입니다.
그래픽이 구렸다면 제가 왜 와우 오리지날 부터 하면서 컴퓨터를 3번을 바꿨을까요?
기본적으로 와우캐릭은 서양 유저를 위해 만들어서 그런거 같습니다. 흔히 말하는 양키센스!
한국유저와 달리 서양유저들은 크게 거부감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구요.
물론... 이번 내부전쟁 토석인에 대해서는 ㅎㅎ
이제 마이크 좀 괜찮아지지 않았나요? ㅎㅎ :)
Ответит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