הבדלה | נתנאל הרשטיק & המכביטס | Havdallah | Netanel Hershtik ft Maccabeats

הבדלה | נתנאל הרשטיק & המכביטס | Havdallah | Netanel Hershtik ft Maccabeats

Netanel Hershtik Official

9 лет назад

168,190 Просмотров

Ссылки и html тэги не поддерживаются


Комментарии:

@ankikorea
@ankikorea - 26.04.2025 09:12

▪ 영어 표현: I'm in a bind
▪ 직역:
(문자적 의미): "나는 묶인 상태에 있다"
I’m (I am: 나는 ~이다), in (~ 속에), a bind (묶인 상태, 곤란한 상황)
(관용적 의미): 곤란한 상황에 처했다 / 진퇴양난에 빠졌다
▪ 의역:
1. 곤경에 빠졌어
2. 진퇴양난이다
3. 난처한 처지다
4. 곤란한 상황에 있다

▪ 발음: [aɪm ɪn ə baɪnd] (아임 인 어 바인드)

【 의미와 활용 】
▪ 기본 의미: 여기서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는 상황, 즉 꼼짝 못하는 곤란한 상황을 뜻함
▪ 뉘앙스: 도움이 필요하거나, 혼자 해결하기 어려운 상황을 암시

▪ 사용 맥락:
- 시간 부족, 금전 문제, 책임 충돌 등에서 빠져나오기 힘든 상황
- 결정할 수 없는 딜레마, 또는 외부 압력에 갇힌 상태
- 일상 회화뿐 아니라 비즈니스, 드라마 등에서도 자주 사용됨

【 유래/역사,기원,어원 】
이 표현은 19세기 후반 미국에서 널리 쓰이기 시작했습니다.
‘bind’는 원래 ‘묶다, 얽다, 속박하다’라는 뜻으로, 밧줄이나 끈 등으로 물리적으로 묶여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는 상태를 가리켰습니다.
19세기 미국 소설과 신문에서 “in a bind”는 ‘밧줄 등에 묶여 꼼짝 못하는 상황’을 비유적으로 표현하며, 점차 ‘곤란한 상황, 진퇴양난, 난처함’의 의미로 확장되었습니다.
오늘날에는 영어권 전역에서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 곤란한 상황, 진퇴양난에 처하다’는 뜻의 대표적 관용구로 널리 사용됩니다.

【 의미의 발전 】
1. 19세기 후반: 밧줄·끈 등으로 물리적으로 묶여 꼼짝 못하는 상황에서 유래
2. 20세기: 곤란한 상황, 진퇴양난, 난처함 등 비유적 의미로 확산
3. 현대: 돈, 시간, 선택, 인간관계 등 다양한 상황에서 ‘곤란한 처지, 진퇴양난’의 대표적 관용구로 정착

【 예문과 활용 】
▪ 대화 예문
A: "What's wrong? You look stressed."
(무슨 일 있어? 스트레스받아 보여.)
B: "I'm in a bind. I don't know what to do."
(곤경에 처했어. 뭘 해야 할지 모르겠어.)

A: "Can you pick me up tonight?"
(오늘 밤 나 좀 데리러 올 수 있어?)
B: "Sorry, I’m in a bind — I have to work late."
(미안, 좀 곤란해. 야근해야 해서.)

▪ 기초 예문
"I’m in a bind because I forgot my wallet at home."
(지갑을 집에 두고 와서 곤란한 상황이야.)
"She’s in a bind trying to decide between two job offers."
(그녀는 두 개의 일자리 제안 중 선택하려고 고심 중이야.)

▪ 실전 표현
"I was in a bind when my flight got canceled at the last minute."
(내 비행기가 막판에 취소되면서 난처한 상황에 빠졌다.)
"Being in a bind financially is stressful for anyone."
(재정적으로 곤란한 상황에 처하는 것은 누구에게나 스트레스야.)

▪ 유사 표현
"I'm in a tough spot"
(어려운 상황에 있다)
"I'm in a jam"
(곤경에 처하다)

▪ 반대 표현
"be in control"
(상황을 주도하다)
"have it easy"
(쉽게 풀리다)

【 주의할 점 】
▪ 자주 혼동하는 표현 or 비교 표현:
- “In a bind”는 현실적 곤경이나 불편한 상황에 처해 꼼짝 못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Between a rock and a hard place”는 둘 다 힘든 선택지 사이에 끼어 결정을 못하는 진퇴양난 상태를 강조.
→ 즉, “bind”는 상황의 제한, “rock and a hard place”는 선택의 고통에 더 집중된 표현.

▪ 문법적 특징:
- 기본 구조: be + in a bind
→ 예: ✅ I'm in a bind.
- “a bind”는 단수 가산명사 → 반드시 관사 “a” 필요
- 자주 쓰이는 변형:
• find oneself in a bind
• get into a bind
• put someone in a bind
→ ✅ She found herself in a bind after quitting her job.

▪ 상황별 주의:
- 심각하기보다 현실적인 곤란함을 표현할 때 자주 사용됨
- 비격식적이지만 일상, 뉴스, 회사 대화에서도 사용 가능
- 다만 공식 보고서나 연설문에서는 “in a difficult situation” 등으로 대체하는 것이 자연스러움

Ответить
@다람쥐-g6j
@다람쥐-g6j - 29.04.2025 09:13

나도.I'm in a bind.

Ответить
@ISFP.T
@ISFP.T - 28.04.2025 06:49

I'm in a bind 😢

Ответить
@yummychun6065
@yummychun6065 - 27.04.2025 15:38

정말 감사합니다...

Ответить